이사를 앞두고 계신분이라면 신경쓸 게 너무 많아서 머리가 아프실 것입니다. 이사 전에 체크해보아야 할 것들 중 빠뜨려서는 안되는 중요한 부분이 공과금 정산인데요. 이사 시 반드시 정산해야하는 공과금은 총 3가지로 전기, 가스, 수도 요금입니다. 각각의 공과금을 어떻게 정산해야 하는지 그 방법을 이 글을 통해 확실하게 알아가시기 바랍니다.
우수 이사업체 견적 비교하기
전기요금 정산 방법
가장 먼저 전기요금 정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전기세는 이사를 하는 당일에 정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사 당일 오전 일찍, 한국전력 즉 한전(국번없이 123 / 휴대폰이라면 지역번호 포함 123)으로 전화하여 정산할 집주소와 전기 계량기의 현재 지침을 말씀해주시면 됩니다. 검침기에 나와있는 앞의 4자리 숫자를 확인해서 말해주면 됩니다.
계량기는 보통, 건물 1층 현관 안 또는 외벽에 있습니다. 전기요금 계량기는 기계식과 전자식 있는데요. 종류마다 지침 확인 방법이 조금씩 다릅니다.
아래의 사진을 참고하셔서 계량기 지침을 확인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전기 계량기 보는법)
상담원에 계량기의 지침을 전달하면 한전에서는 당일까지의 전기사용량을 체크하여 정산금액과 가상계좌를 문자로 보내줍니다. 그곳으로 전기요금을 이체하시면 되겠습니다.
아파트나 빌라 등 다세대 주택의 경우, 관리비에 전기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집주인이나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기요금 온라인 정산하기
전기요금은 온라인으로도 정산이 가능한데요. 한국 전력공사사이버지점 홈페이지에서 정산할 수 있습니다. 해당 홈페이지 메인 화면의 [이사정산 원스탑처리]메뉴에 들어가서, [이사요금 계산 및 납부]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고객번호를 입력 후, (고객번호는 전기요금 고지서에 명시) 절차에 따라 계량기 지침 숫자를 입력하면 전기 요금이 정산되고, 해당 금액을 결제해주시면 됩니다. 인터넷 정산의 경우에도 계량기의 지침은 직접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모바일 앱으로도 전기세 정산이 가능한데요. ‘스마트 한전’앱의 [이사 정산]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PC, 휴대폰 모두 한전사이버지점에 가입이 필요한데, 이 과정이 귀찮으시다면 첫번째 방법인 한전 고객센터(123)에 전화를 하는 방식으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수도세 정산 방법
수도요금의 경우에도 전기요금과 마찬가지로 이사 당일까지의 요금을 정산해야 합니다. 이사하는 날 일찍, 지역별 수도사업소나 다산 콜센터(국번없이 120)에 전화해서 정산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수도요금 온라인 정산하기
수도요금도 온라인으로 정산할 수 있습니다. 아리수 사이버 고객센터 사이트를 통해 정산 가능합니다.
‘서비스 바로가기’ 메뉴의 [이사요금]으로 들어가서 안내 절차에 따라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모바일로는 ‘모바일 아리수 앱을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가스비 정산 방법
마지막으로 도시가스 요금 정산입니다. 가스비의 경우에는 전기와 수도와는 달리 이사 당일에 정산 신청을 하는 것이 아닌, 미리 신청해야 하는데요. 그 이유는 가스를 차단하는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일주일 전, 도시가스 지역센터로 연락해서 이사날짜를 알려주고 방문일자를 잡아야 합니다. 늦어도 이사 3일 전에는 꼭 정산 신청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이사 당일 기사가 방문하여 가스레인지와 가스 밸브를 분리해주면서 현장에서 바로, 현재까지 사용한 가스요금을 정산해서 알려줍니다. 따라서 직접 계량기를 확인하고 전달해주는 절차는 없습니다.
그리고 가스요금 정산 절차는 현금결제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미리 현금을 준비해두거나, 기사 방문 이전에 미리 결제 방식에 대해 문의해놓으면 좋습니다.
공과금 정산 방법 정리
- 전기요금 – 이사 당일 일찍, 한전(123)으로 연락 또는 온라인으로 요금 정산.
- 수도요금 – 이사 당일 일찍, 거주 관할 수도사업소나 다산 콜센터(120) 문의 또는 온라인으로 요금 정산.
- 가스요금 – 이사 3~7일 전 , 지역별 도시가스 지역센터로 연락하여 이사 전 가스 정산 신청.
이사 공과금 정산 시 유의할 점
각종 공과금을 자신의 은행 통장에서 매달 정해진 일자에 자동으로 빠져나가도록 설정해놓으신 분들도 있으실텐데요. 이렇게 공과금 자동이체 설정을 해 놓은 경우, 이사 전에 해당 은행에 방문하거나 은행사이트 또는 어플을 통해 자동이체 해지도 직접해주셔야 합니다.
이상으로 이사 전 각종 공과금을 정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공과금 정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사를 들어오는 사람과 말이 오고갈 수 있기 때문에, 이사 전에 확실하게 정산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사 할 때는 오늘 알아본 공과금 정산 이외에도 정말 신경쓸 것들이 많지요. 이사를 준비하고 계신분이라면 아래의 글도 참고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