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이란? 연말정산 하는 이유 쉽게 설명!

매년 연초가 다가오면 직장인들은 긴장을 하는데요. 바로 연말정산 때문입니다. 오늘은 ’13월의 폭탄’ 또는 ’13월의 월급’이라고도 하는 이 연말정산에 대해 다뤄볼건데요. 연말정산이란 무엇인지 기본적인 개념과 연말정산 하는 이유 등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드릴테니 확실히 이해하고 가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이란?

먼저 연말정산의 개념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이란 급여소득에서 한 해 동안 과세한 소득세에 대해, 다음 연도 초에 넘거나 모자라는 액수를 정산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직장인이 일을 해서 돈을 벌면 나라에서는 번 돈을 다 주지는 않습니다. ‘근로소득세’라는 것을 떼갑니다. 이 세금은 직장인이 직접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에서 근로자의 월급에서 세금을 미리 떼어서 대신 납부해줍니다.(이를 ‘원천징수라고 함)  만약 이렇게 과세한 세금이 1년 동안 실제로 냈어야 하는 세금보다 많이 냈다면 그만큼 돌려받게 되며, 적게 냈다면 그만큼 더 내야 합니다.

따라서 연말에 정산을 해보고 더 낸 세금을 환급해줄 것인지, 덜 낸 세금을 징수할 것인지 결산하는 것이 연말정산입니다.

 

연말 정산하는 이유

그러면 왜 연말정산을 하는 것일까요? 좀 더 구체적으로 질문해서, 왜 이미 낸 세금실제로 내야하는 세금 간의 차액이 발생하는 것일까요?

나라에서는 원천징수를 통해 근로자의 세금을 미리 떼어간다고 했었지요. 원천징수로 과세된 세금은 연봉 구간에 따라 세율을 매긴 일괄적인 징수이지,  근로자 개개인의 형편을 고려한 것이 아닙니다.

예를들어 A라는 사람과 B라는 사람 둘 다 연봉이 3천만원이라고 해보겠습니다.(원천징수액 같음) A는 부모님을 부양하고 있고, 소비도 많이 해서 경제에 도움도 되고, 가끔 기부도 하는 데에 반해, B는 혼자 먹고 살고 소비도 적게 하는 사람입니다. 형편이 다른 이 둘이 똑같은 세금을 낸다면 조금 불공평하겠지요. 국가 입장에서는 나라의 경제에 더 도움이 되고 형편이 어려운 A에게 세금을 더 공제해주기를 원할 것입니다.

연말정산 하는 이유

 

이러한 개인의 사정을 국가가 하나하나 다 들여다 볼 수가 없으니, 근로자 개인이 ‘나 이러저러한 형편이고, 이렇게 소비하고 있다’라고  각종 서류들을 통해 공제 가능한 내역들을 증빙 함으로써, 납부할 세금을 최대한 줄이고 환급까지 받을 수 있는 절차가 연말정산인 것입니다.

원천징수된 세금보다 공제액이 큰 경우 >세금 환급 >13월의 월급!
원천징수된 세금보다 공제액이 적은 경우 >세금 징수 >13월의 폭탄!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연말정산이란 무엇인지와 연말정산 하는 이유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았는데요. 연말정산에는 이 외에도 근로소득, 비과세 소득, 소득공제, 세액공제 등 이해하기 은근히 어려운 개념들이 더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그러한 개념들과 더불어 연말정산 하는방법, 계산법, 공제 대상, 환급 기준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